Friday, January 27, 2012

"공주의 남자", "해를품은 달", 그리고 베르디의 "운명의 힘"

"공주의 남자"에 이어 "해를품은 달"을 열심히 보는 중이다. 전자는 계유정난이라는, 역사적 큰 틀에 어느정도 기반하고 있는 반면 후자는 전적으로 허구이다. 하지만 두 작품을 관통하는 큰 줄기는 무슨 수를 써도 끊어질 수 없는 인연의 끈, 즉 만날 사람은 무슨 일이 있어도 만나게 되어있다는 운명을 말하는 것 같다. 물론 인위적인 힘(무력이나 간계)으로 잠시나마 억지로 떼어놓을 수는 있을지 모르나 궁극적으로 이는 만나게 되어있는 운명을 거스르진 못한다. 아무리 집안의 원수가 되어 죽이니 살리니 해도, 승유와 세령은 죽음까지 불사하며(실제 마지막에 가서 이들은 그들을 옳아매던 "이름"을 잃고서 진정히 함께하는 삶을 얻게 된다. 즉 이름의 부재를 택함으로써 실제 존재의 가치를 획득하게 된다) 결국은 부부가 된다. 아직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해를품은 달에서는 현재 인위적인 힘에 의해 이훤과 연우의 끈이 (겉보기에) 끊어져 있지만 궁극에는 그 끈이 이어지게 된다고 한다.

이걸 보니 베르디의 오페라 "운명의 힘"(La forza del destino)이 생각난다. 베르디의 수많은 오페라 제목 중 가장 철학적이며 멋있다고 생각하는 "운명의 힘"은 위의 두 드라마와는 반대로 헤어져야만 하는 사람은 아무리 이어놓으려 해도 같이 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역시 드라마에서와 비슷하게 집안의 반대에 당면한 두 남녀(레오노라와 돈 알바로)가 같이 도망친다. 그러나 함께한 시간도 잠시, 이내 헤어지며 쫓기는 신세가 된다. 만날 듯, 만날 듯 안타깝게 스쳐지나가는 순간이 계속되며 집안의 화해가 이루질 것 같은 희망도 던져주지만 결국엔 레오노라는 가문과 대의명분에 사로잡힌 오빠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게 되며, 돈 알바로 또한 뒤따라 죽는 것으로 암시된다 (오페라의 결말은 판본에 따라 다소 다르다).


*안젤라 게오르규가 부르는, "운명의 힘" 중 4막 처음부분에 나오는 "Pace pace o mio Dio" (신이시여 평화를 주소서). 동굴에 숨어든 레오노라가 이제 그만 평화를 달라며 신에게 호소하는 아리아. 아리아의 마지막 쯤 해서 레오노라가 외부인의 인기척을 들으며 그 대상에게 "저주를!"(maledizione) 이라는 말을 반복하는데, 알고보니 그는 돈 알바로였다. 

인간의 의지는 이미 예정된 운명, 즉 숙명을 거스를 수 없는가? "해를품은 달"과 "운명의 힘"은 "그렇다"는 대답을 들려주는 듯 하다. 대왕대비와 윤씨일가가 아무리 주술과 간계를 써도 연우의 자리는 다른 사람의 차지가 될 수 없다. 운명의 힘에서도, 레오노라와 알바로가 그렇게 애쓰고 노력하고 고통받아도 함께할 수 없다는 운명은 끝끝내 바뀌지 않는다. 반면에 "공주의 남자"는 이에 대해 다소 다른 대답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세령이와 승유가 주어진 상황을 뒤집고, 이에서 벗어나고자 얼마나 애썼고 죽음까지 불사하며 피눈물 나는 노력을 했는지가 드라마 내내 너무나도 절절히 나왔기 때문에 그 행복한 결말을 단지 처음부터 그렇게 예정되어 있었다는 숙명으로 치부하기엔 그들의 의지와 노력의 과정이 너무나도 눈물 겨웠었다. 따라서 "공주의 남자"의 운명은, 이미 결론지어진 숙명이라기 보다는 내가 개척하고 만들어가는, 적극적인 의지 추구로서의 "운명"이라는 의미가 더 강해보인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