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December 16, 2014

뉘른베르크의 명가수-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이번 시즌 메트의 유일한 바그너 오페라인 "뉘른베르크의 명가수"를 보고서 느낀 단상들

1. 고전적인 내용을 다루는만큼 Günther Schneider-Siemssen의 복고풍 무대미술은 너무나도 잘 어울렸다. 2막, 3막에서 각각 커텐이 올라갈때마다 청중들은 박수로 화답. 영상보다 실제로 보니 정말 예쁘고 아름다운 무대였다. 2막 한스 작스의 공방을 비롯해 장인들이 사는 마을을 재현한 공간은 예전에 방문했던 뉘른베르크의 뒤러집이 위치한 광장과 비슷하였고, 3막의 뒷 배경은 뉘른베르크성을 모델로 한 것 같았다. 푸치니의 토스카를 보면 로마를 가보고싶고, 쟈니 스키기를 보면 피렌체가 보고싶은 것처럼, “명가수”를 보니 예전 뉘르베르크 갔던 기억이 새록새록 다시 떠오르면서 다시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2. 노래대회에서 우승하고 에바와 이어지는 발터가 주인공이긴 하지만, 드라마 전체적으로 진정한 주인공은 한스 작스. 벡메서로 인해 촉발되는 혼잡한 상황정리 능력, 탁월한 시적 음악적 재능, 주위사람들 배려할 줄 아는 대인배스런 모습, 에바에겐 아버지와 같은 따뜻한 존재, 발터의 아직 꽃피지 않은 잠재성을 알아보는 혜안 등등… 작스가 이리 멋있는 사람이었던걸 왜 몰랐을까싶을 정도로 정말 멋있었다. 링 사이클에서는 보탄, 파르지팔에서는 구르네만츠, 트리스탄에서는 마르케 왕 등 바그너는 바리톤을 굉장히 멋있게 쓸 줄 아는 작곡가인듯 하다. 바리톤이 전담하던 기존의 악마, 왕, 신과 같은 캐릭터가 아니라 뭔가 제 3자로서 극적은 갈등과 해결을 모두 다 뚫어보고 있는 캐릭터는 항상 바리톤에게 주어지는 느낌?

3. 바그너의 작품 중 남성 앙상블의 진수를 보여주는게 바로 “명가수”이다. 1막에서 장인들이 모여 회의하다 논쟁하는 장면이 특히나 인상적. 발퀴레 3막에서 8명의 발퀴레 여전사들이 이루는 앙상블에 대적할만하다.

4. “명가수는” 음악극(Musikdrama)으로 분류되는 바그너 작품중에 음악적으로 가장 클래식하다. 동형진행(sequence)이 계속해서 나오는데, 반지나 트리스탄, 파르지팔에서와는 비교가 안되게 많이 들린다. 그와중에 증화음도 계속 나오고.… 전반적으로 바그너 작품 치고는 음악재료가 상당히 덜 반음계적인 편.

5. 이날 발터역은 죠안 보타 (Johan Botha), 작스역은 미하엘 폴레 (Michael Volle), 에파는 아넷 다쉬(Annette Dasch)가 맡았다. 전반적으로 성악가들 기량이 상당히 좋았다. 특히 인상적이었던 미하엘 폴레는 르네 파페랑 약간 비슷한 음색인 듯 한데, 지적이면서 사색적인 작스의 캐릭터를 잘 살린것으로 보인다. 2019년 링 사이클에서 보탄 역을 맡을 예정이라는데 무척 기대가 된다. 꼭 봐야지. 이에반해 보타의 경우 성량이나 음색은 전반적으로 바그너 테너에 부합하지만, 개인적으로 독일어 딕션이 좀 맘에 안들었으며, 마지막 하이라이트 장면인 Preislied (Prize Song)부를때 좀 더 감정을 살려서 정성들여 부른다는 느낌이 났으면 더 좋았으리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보타의 연주는, 하나하나 곱씹기 보다는 너무 쉽게 그냥 빨리 가버리는 듯한 인상. 카우프만의 Preislied에서 느꼈던 굉장히 공들인 듯한 느낌, 에파에 대한 지고지순 사랑의 감정과 비교되어 더 그런듯 하다.

작스역을 맡은 미하엘 폴레의 무대 인사

다함께 커튼콜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