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September 28, 2011

A Fish Singer- Montserrat Caballé


I call certain classical singers "fish," who have an extraordinary singing technique: they hold a note for an extremely long time without breathing. They would be able to live without breathing like a fish,* so I call them “fish.” I don’t know how this technique works. Perhaps, they mastered a magical skill of pulmonary or abdominal respiration. Or it's just a matter of talent given by God. Whatever it is, singing of fish singers always brings awe and amazement through their superb breath control. One name comes to my mind first: the legendary Montserrat Caballé is one of the best fish in the group. She is mainly known as a bel canto diva but also a great interpreter of Puccini and verismo.

There are countless Youtube clips that give you a glimpse of how this fish singer shows off her brilliant “fish” technique. “Poveri Fiori”(Poor Flowers) from Cilea’s “Adriana Lecouvreur” is one of her best renditions that you enjoy. The text describes Adriana’s pain, sorrow, and despair, as she believes that her lover sent back the faded violets to her, which she had given him before. Here, Caballé’s long and soft legato line exquisitely carries despondent feelings of the heroine’s broken heart. Her singing is really speechless.

I can't but admire and worship this fish singer.   



*Of course, fish is a gill-breathing animal. Yet in this article I use “fish” as a metaphorical meaning because they don't seem to breathe underwater.

Friday, September 16, 2011

푸치니, "O mio babbino caro"(오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

"O mio babbino caro" from Puccini's "Gianni Schicchi"

푸치니의 오페라, "쟈니 스키키" 로레타의 아리아이다. 오페라는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전형적인 희극이다. 극 중 이 아리아는 로레타가 아버지인 스키키에게 사랑하는 남자친구와의 결혼을 허락 해달라 간청하며, 만약 허락 안해줄 경우 베키오 다리 위에서 아르노 (피렌체를 무대로 )으로 뛰어들겠다고 협박 아닌 협박을 하는 장면이다. 가사만 본다면 다소 과격한 면이 없잖아 있지만, 워낙 선율이 아름다고 시적이기 때문에 결혼식 축가로도 자주 쓰이는 .

어제 페이스북에 올라온 Royal Opera House London 이번 시즌 극장 상연 예고 클립에 안젤라 게오르규가 부르는 아리아가 배경음악으로 나왔다. 평소 게오르규 목소리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지만 편집된 오페라와 발레 영상, ROH "world class" 이미지, 그리고 게오르규의 호소력 있는 가창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져 몽환적이고도 고급스런 분위기를 실어나르고 있었다. 완전히 홀린 채 이 동영상만 한 50번은 돌려본 거 같다. 고백컨데 아리아가 이처럼 아름답고, 숭고하고, 절절하게 들린 적은 정말 처음이다. 아래는 바로 ROH 동영상.

  

이 노래는 아버지에게 결혼시켜달라 간청하는 장면이라는 것만 대충 알았던지라, 구체적인 텍스트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원어 텍스트를 찬찬히 뜯어보니 간청이라기 보다는 거의 협박에 가깝긴 하지만 다소 귀엽게 보이기도 한다.
  
O mio babbino caro, / , 사랑하는 나의 아버지
mi piace, è bello, bello. / 그를 사랑해요. 그는 정말 멋지고도 멋진 사람이에요.
Vo'andare in Porta Rossa / 포르타 로사로 가서
a comperar l'anello! / 반지를 사려고 해요!

Sì, sì, ci voglio andare! / , 정말로 갈거에요!
e se l'amassi indarno, / 만약 사랑이 허락될 없다면
andrei sul Ponte Vecchio, / 차라리 베키오 다리로
ma per buttarmi in Arno! / 그곳에서 아르노 강으로 뛰어들겠어요!

Mi struggo e mi tormento! / 마음이 아프고 괴로워요!
O Dio, vorrei morir! / 신이시여, 차라리 죽겠습니다!
Babbo, pietà, pietà! / 제발  가련히 여겨 주세요!
Babbo, pietà, pietà! / 가련히 여겨 주세요!

아련한 선율, 감성을 자극하는 가사... 푸치니를 좋아하지 않을  없는 이유이다. 바그너의 음악은 항상 음악 자체도 좋지만, 음악 넘어의 보다 본질적이고 초월적인 메세지를 찾게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푸치니의 음악은 마음에 바로 느껴지는 아름다운 선율 그 자체로서 우리를 끌어당기고 울린다. 그런면에서, 바그너를 듣는 방식은 플라톤적인 반면 푸치니를 듣는 방식은 아리스토텔레스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듯 하다. 머리가 아닌 마음으로 듣는 음악이 바로 푸치니다.
  
아래는 안젤라 게오르규가 링컨 센터에서 라이브 공연한 . 어제밤 ROH클립 이후 유툽에 올라온 레코딩 여러개 찾아봤는데, 역시 게오르규 녹음이 음색과 표현력 면에서 최고인 하다. 차분하면서도 열정적이고, 부드러우면서도 강렬하게 파고든다...